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 소상공인 50만 원 지원금, 이제는 현금이 아닌 ‘카드 포인트’로 공공요금이나 4대 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."전기요금도 카드 포인트로 낼 수 있다고?" "포인트로 건강보험료도 납부 가능?" 정답은 YES!
👇소상공인 카드 포인트로 공공요금 납부하는 방법,👇
📌 소상공인 카드 포인트란?
‘소상공인 카드 포인트’는 2025년 정부가 지급하는 50만 원 지원금으로, 현금 대신 카드사 포인트 형식으로 지급되며, 공공요금 또는 4대 보험료 납부 시 자동으로 차감되는 방식입니다.
중요 포인트 3가지!
- 현금처럼 자유롭게 사용 불가
- 카드 결제 시 자동 차감
- 지정된 사용처(공공요금·4대 보험료) 외 사용 불가
💳 어떤 요금을 카드 포인트로 낼 수 있나?
공공요금 | 전기요금, 가스요금, 수도요금 |
4대 보험료 | 국민연금, 건강보험료, 고용보험, 산재보험 |
납부 방식 | 본인 명의 카드로 결제 시 포인트 자동 차감 |
✅ 단, 개인 소비·쇼핑·편의점 등 일반 결제에는 사용 불가!
✅ 소상공인 카드 포인트 사용 절차
① 카드사 등록 (선택 1곳)
- 부담경감크레디트. kr 또는 소상공인 24에서 신청할 때 카드사 1곳을 선택해 등록합니다.
- 국민카드, 신한카드, 농협카드, 하나카드 등 정부 협약 카드사만 가능
- 카드번호 인증 후 포인트 충전
② 공과금 또는 보험료 자동 이체 설정
- 전기요금: 한전 홈페이지 또는 카드사 자동이체 등록
- 건강보험료: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카드 자동납부 신청
- 국민연금: 국민연금공단 → 자동이체 수단에 카드 등록
✅ 카드 자동이체 등록 후 납부 시, 사용된 금액만큼 포인트에서 자동 차감됩니다.
③ 자동 차감 방식 이해하기
- 공과금 10만 원 결제 → 카드로 정상 결제됨
- 해당 카드에 등록된 포인트가 있다면
👉 실제 카드 청구액에서 포인트가 선차감
👉 카드 명세서에 “포인트 차감” 내역 표시됨
예시:
전기요금 9만 8천 원 납부 → 포인트 9만 8천 원 자동 차감 → 실제 카드 대금 0원
🧾 준비해야 할 것
본인 명의 카드 | 협약 카드사만 가능 |
사업자등록증 | 소상공인 여부 확인 |
공공요금 자동이체 등록 | 홈페이지 or 카드사 이용 |
인증 수단 | 공동인증서, 패스인증 등 가능 |
🔎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카드 포인트가 부족하면 어떻게 되나요?
A. 부족한 금액은 정상 카드 청구로 전환됩니다. 예: 포인트 3만 원 남고 요금 5만 원이면, 차액 2만 원은 카드 결제로 납부됨.
Q2. 가족 명의 카드로 결제해도 되나요?
A. 불가합니다. 반드시 사업자 본인 명의 카드로만 포인트 사용 가능합니다.
Q3. 결제 후 포인트 차감 내역은 어디서 확인하나요?
A. 카드사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‘포인트 사용 내역’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⚠️ 소멸 주의! 사용기한은 언제까지?
2025년 12월 31일까지 사용해야 하며, 미사용 잔액은 이월되지 않고 자동 소멸됩니다.
따라서 전기요금, 보험료 납부일에 맞춰 자동이체 등록을 해두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.
📌 요약정리
- 소상공인 카드 포인트는 현금 아님 → 공과금·보험료 전용 포인트
- 사용처는 전기, 가스, 수도요금 + 4대 보험료에 한함
- 카드 등록 + 자동이체 설정 = 포인트 자동 차감 완료
- 12월 31일 이전에 모두 사용해야 손해 없음!
✨ 실사용 팁
- 전기요금 카드 납부 등록은 한전 고객센터 123번 또는 홈페이지 가능
- 국민건강보험 카드 자동납부는 매월 10일 이전 신청해야 익월 반영
- 결제 전 카드 포인트 잔액 확인 필수!